posted by 오소(오늘소식) 2018. 10. 1. 08:04


10월1일 내년 한국경제성장률 2.6% 전망
#한국경제성장률급락 #주담대인상 #JSA지뢰제거 #인도네시아강진 #일본태풍짜미 #카드포인트현금전환 #뇌MRI건보 #서울아파트거래절벽 #직방카카오제휴 #전국땅값급등
#진짜뉴스 #오늘소식 #오소 #경제시사소식 #기업증권소식 #부동산소식 #오늘소식채널
#네이버카페 http://cafe.naver.com/englishmaster
#카톡스토리채널 https://story.kakao.com/ch/newstoday
#카톡플러스친구 http://pf.kakao.com/_axjAxmxl


시사/경제
- 민간 경제연구원, 내년도 한국 경제성장률 올해 2.8% 보다 낮은 2.6% 제시. 수출 증가 둔화 및 설비투자 감소세 확대 영향
- OECD,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2.7% 예측. 지난해 대비 0.4% 하락
- 은행업계, 올해 국내 주택담보대출금리 연내 연 5% 돌파 전망. 미국 기준금리인상 반영. 1500조원 가계부채 관리 비상
- 문대통령, 청와대 복귀. 방북/방미 결과 국회 발표. 한반도 평화 구상 및 국정운영 속도 전
- 남북, 오늘부터 JSA 주변 지뢰제거 작업 돌입
- 이용호, 지속에 유엔총회서 미국 대북제재 완화 공개적 요구. 미국식 先비핵화/後제재완화 거부
- 민주당, 추미애 등 대미특사단 30일 워싱턴DC 방문. 남북정상회담 관련 간담회
- 민주당, 10일 구글/페북/애플 등 글로벌기업 한국대표 국감 증인 신청. 망사용료/세금납부문제 집중 거론 전망. 한국당, 네이버/카카오 의장 국회 출석요구
- 인도네시아, 28일 7.5규모 강진 및 쓰나미 발생. 사망자 832명. 한국인 2명 연락 두절. 피해 규모 증가
- 일본, 태풍 짜미 진입에 하늘길/땅길 마비. 오사카 간사이공항 폐쇄 및 수도권 전철 운행 중단
- 중국 금융당국, 주가부양 위해 자산관리상품 3600조원 규모 주식투자 허용. 부실기업 차입금 확대에 금융시스템 위협 우려
- 중국, 미국 무역전쟁 보복. 미국 GM 332만대 대규모 리콜 조치 명령. 국경절 미국행 항공권 예약률 42% 급감.
- 신흥국, 인도네시아/필리핀/홍콩/파키스탄 자금유출 우려에 기준금리 줄줄이 인상
- 파키스탄, 기준금리 8.5% 올해 4차례 인상. 외화부족 자금유출 비상
- 뇌MRI, 오늘부터 건보 적용. 환자부담 비용 66만원서 18만원으로 축소. 이상 증상/소견 등 필수
- 카드업계, 10월부터 카드포인트 현금 전환 서비스(1포인트 1원 단위 전환). 지난해 카드포인트 적립액 2.9조원
- 정부, 공인회계사 선발인원 증원 추진. 최저 선발인원 수 확대방안 논의. 회계업계 반발
- 서울시, 소상공인에 긴급자영업자금 150억원 추가 지원. 금리 2% 최대 5년 장기 융자 프로그램
- 검찰, 재판거래 의혹 양승태 첫 압수수색 실시. 사법부 윗선 검찰 수사 본격화 전망
- 경찰, 전국 FX렌트 외환거래 사이트 전면 수사. 사행성 짙은 도박성 거래 판단
- 고령화, 택시기사 25% 65세 이상. 90세이상 운전사 237명
- 외국인 건강보험 적자 급증, 의료먹튀 고액치료에 연 1700억원 손실. 복지부, 국민건강보험 개정법 추진. 지역/직장가입자 가입요건/자격기간 강화
- 코리아세일페스타, 흥행부진. 낮은 할인율과 경기침체 영향. 소비자, 11월 블프/광군제 기대
- 9월 휘발유/경유 값, 연중 최고치 기록. 국제유가 상승세 지속 영향
- 빗썸, 가상화폐 제2거래소 10월 중순 오픈. 탈 중앙형 분산방식으로 해킹문제 극복
- 2금융권, 중금리대출 오늘부터 본격 재개. 가계대출 총량 규제대상서 제외
- 경기도, 심야버스 2022년까지 매년 5개 노선씩 25개 노선 증편
- 세종시, 스마트워터시티 조성. 2020년까지 120억원 투입
- 면역력 향상 법: 계피/생강차/도라지/더덕/견과류/인삼 복용 및 명상/호흡
- 추천도서: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, 아마존 미래전략 2022, 초격차


기업/증권
- SK그룹, SK해운 매각 결정. 국내 사모펀드 한앤컴퍼니와 1.5조원 매각 협상. 해운업 불황 및 일감몰아주기 규제 영향. (부채비율 2391% 차입금 4.4조원. 단기차입금 1.3조원)
- 머스크, 상장폐지 투자자 기만혐의. 이사회 의장 사임 및 벌금 222억원. 테슬라 CEO는 유지
- MG손해보험, 자본확충 난항. 2500억원 증자실패에 금융당국서 경영개선 요구 조치
- 우리은행, 내년 초 지주사체제 전환 위해 비은행 계열사 인수합병 대비. 상표권 선점 작업.
- SKC, 중국 합작사 스마트폰 무선충전 소재 가공회사 설립. 내년 상반기 완공 하반기 생산/판매
-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, 공급 초과에 가격하락. 4분기 추가하락 전망. D램, 공급부족에 가격 유지
- 아시아나항공, 오늘부터 인천공항 탐승수속카운터/라운지 이전. K/L/M서 A/B/C로
- LG유플러스, 해외 로밍 서비스 개편. 내년3월까지 해외 음성통화 무료. 해외 로밍 이용확대 전략
- SK텔레콤, 부산도시철도 1호선 40개 역사에 LTE-R 철도통합무선망 구축. 
- 통신3사, 이달 말 1.7조원 규모 33개 기관 재난안전통신망 사업 수주 경쟁
- 페이스북, 해킹 발생. 5천만명 개인정보 유출 위험. 6개월 만에 개인정보유출 논란 재점화
- 하나투어/바디프랜드/CGV, 주52시간 근로 도입에 브랜드 가치 상승. 주류 브랜드 하락세
- 코스닥 관리종목: 나노스/차바이오텍/파티게임즈/디에스케이/모다/감마누
- 에스퓨얼셀, 소수연료전지 업체. 오늘내일 일반 청약. 15일 코스닥 상장
- 한세실업/영원무역, 미국 소비주. 미국 소비자심리지수 급등에 4분기 실적 기대. 주가 상승세 
- 블루홀, 배틀그라운드 이용자수 급감에 주가 급락. 올해 40% 이상 급락
- 와이오엠, PE필름 제조업체. 대표 횡령혐의 고소 소식에 주가 하한가. 사측 고소인에 명예훼손 혐의 맞고소
- 넷마블/엔씨, 시총격차 18개월새 6조원서 965억원. 넷마블 실적 부진 영향
- 일본 도쿄증시 닛케이, 24000선 돌파. 27년만에 최고 수준 기록. 
- CJ ENM, 동남아 최초 한류축제 케이콘서 이틀새 4.2만명. 7년 누적 관람객 82만명
- 구글, 4차산업분야 국내특허등록 급증. 누적 국내특허 162건. 미국특허 1400건. 중국특허 8400건 특허침해 소송 발생 시 통신/IT업계 타격 전망
- 삼성전자/SK하이닉스, 내년초 법인세 17조원(삼성12조/SK5조). 전체 법인세 20% 차지
- SK이노베이션, 미국에 전기차 베터리 공장 건설 검토. 한국/유럽/중국/미국 생산거점 마련
- 중국 광저우자동차, 2018파리모터쇼 SUV 첫 참가. 유럽시장 공략
- 삼성/애플/화웨이/레노버, 내년 5G/폴더블폰 출시 경쟁. 스마트폰 시장 성장 기대
- 정부, 일회용 점안제 299개품목 가격 평균 27% 인하. 제약사 매출 손실 불가피
- 케이피에프, 자동차 단조부품 기업. 로봇 정밀 부품업체 인수. 매출 1조원 기업 목표
- 이마트, 월간잡지 월간가격 발행. 읽을거리/쿠폰 등 삽입. 매월 30만부 발행 이마트 매장 비치
- 남양유업, 알리바바그룹 허마셰성 신선식품 매장 입점. 신규 판매 채널 확보
- 국민연금 지분 확대 배당주: 남양유업/현대리바트/한국공항/케이씨/원익IPS
- 삼성전기, 그룹서열 2위. 올해 영업익 1.3조원 전망. 카메라모듈/MLCC 수혜
- 삼성SDS, 올해 매출 사상 첫 10조원 돌파 전망. 반도체 수혜
- 화장품/면세점주, 중국 국경절/광군제 초읽기에 주가 일제히 상승(중국 소비주: LG생건/아모레/한국콜마/잇츠한불/호텔신라/신세계)
- 외국인 3분기 매수 상위종목: 삼성물산/네이버/LG유플/셀트리온/SKT/코웨이/에쓰오일/우리은행
- 한화, 신용등급 상향조정 A에서 A+. 한화생명/한화케미칼 등 계열사 실적 개선 영향


부동산/건설
- 판교 대장지구, 연내 3847가구 공급. 중대형 힐스테이트판교엘포레 첫 분양. 1주택자 경쟁 전망
- 서울아파트, 거래량 급감. 913대책 이후 하루평균 9.47건 거래. 대책 이전 7.6% 수준
- 서울시/국토부, 주택 실거래가격 외 집주인대출현황/소유자정보/소유권이전현황 등 추가정보수집 및 모니터링 강화 추진
- 다주택/갭투자자, 913대책 이후 최대 1~2억 호가 낮춘 급매물 잇달아 내놔. 하락론 우세
- 서울 아파트, 상승세 주춤. 주간 상승률 전주 대비 0.1% 상승. 지난해 7월이후 최저치 기록
- 수지/안양/과천, 서울 집값 상승에 갭메우기. 1개월새 집값 상승률 3.5% 급등
- 올해 아파트가격 하락 수도권지역, 일산동구(-0.06%)/의정부(-0.25%)/안산(-2.14%)/시흥(-0.98%)/오산(-2.30%)/안성(-1.52%)/양주(-0.16%)/동두천(-0.46%)/광주(-0.68%)/평택시(-4.93%)
- 서울시, 역세권 청년주택 가능지역 범위 250m서 350m로 확대. 3만가구 증가 효과 기대. 2022년까지 8만호 공급
- 서울 대형 오피스, 3분기 공실률 11.9%(지난 2분기 10.4%) 5년내 최고치 기록. 서울 도심권 공실률 15.1%. 경기침체 및 취업자수 증가 악화 영향
- 녹색건축 인증 아파트(2010년 이후 건축 아파트), 매수자에 최고 0.3% 금리 혜택. 투기지역 내 새 아파트 징벌적 가산금리 면제 논란
- 장기임대주택, 4분기 1.3만가구 공급. 초기 임대료 시세 대비 95%이하 책정. 물량 1위(경기도 4715가구) 2위 경남(1638) 3위 세종(1538)
- 전국 땅값, 8월 상승률 10년래 최고 기록 경신. 서울/수도권지역 상승률 주도. 대규모 공공주택 개발 보상비 부담에 분양가 상승 불가피
- 3기 신도시 및 주택공급대책 난항, 후보지 지방자치단체/주민 반발 전방위 확산.
- 직방, 카카오와 사업제휴. 다음부동산 위탁 운영 및 허위매물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. 네이버 부동산 독주 도전
- 새만금개발공사, 10월부터 업무 시작. 총 1조1500억원 자본금. 정원 80명 규모로 시작
- 광주시, 부동산 불법거래 신고센터 운영. 거래가 허위신고, 다운계약, 청약통장 불법거래 분양권 전매 등 모니터링


<명언>
천 번의 기도보다
단 한 번의 행동이
훨씬 낫다


- 간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