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ed by 오소(오늘소식) 2020. 4. 30. 07:17

4월30일(목) 12조원 규모 2차 추경안 합의
No.775
#오늘소식 #오소 #뉴스요약 #뉴스정리 #경제시사소식 #기업증권소식 #부동산소식 #진짜뉴스
오소VIP자료 무단 공유 금지(출처: 카톡채널 네이버카페 오늘소식)

시사·경제(출처: 카톡채널 네이버카페 오소)
- 산업활동 동향, 3월 서비스업 생산 4.4% 감소 역대 최대하락폭 기록. 숙박·음식점업/운수·창고업 등 생산 급감 영향 분석. 4월 기업경기실사지수, 전월 대비 3포인트 하락 51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 기록
- 국회,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통과. 내수 진작 위해 국내 전 업종 소득공제율 80%로 상향조정. 7월까지 신용카드(30%) 체크카드·현금영수증(60%) 전통시장·대중교통(80%) 등 소득공제
- 여야, 29일 12.2조원 규모 2차 추경안 합의. 긴급재난지원금 5월 전국민 지급 전망
- 서울 휴게음식점, 카페·패스트푸드점 등 올해 1분기 폐업률 10년만에 최고치 66.8% 기록. 1년 3년 이내 폐업 각각 12.9% 52.2% 기록. 코로나발 폐업률 급증 영향 분석
- 대학입학전형위원회, 29일 전국 4년제 대학 2022학년도 대합입학전형 시행계획 발표. 수시모집(75.7%) 정시모집(24.3%) 선발 계획. 스카이 등 서울 상위권 대학 9곳 정시 비중 40% 이상 확대 방침
- 정부, 29일 데이터·AI/미래차·모빌리티/의료신기술/헬스케어/핀테크/기술창업/산업단지/관광/전자상거래·물류 등 10대 산업 분야 65개 규제혁신 방안 확정. 진료기록/정치성향 등 개인 민감정보 가명정보 처리 대상 포함 빅데이터 활용. 소수단위 주식 매매 허용 추진. 공유숙박 내국인 허용 추진. 혁신형 의료기기 우선심사제 도입 등
- 정부, 10조원 규모 2차 소상공인 금융지원 프로그램 마련. 5월18일부터 금리 연3~4% 1천만 원 한도 대출 접수 예정. 



기업·증권·투자(출처: 카톡채널 네이버카페 오소)
- 항공업계, 코로나19 여파 구조조정 원점. HDC현대산업개발/제주항공, 각각 아시아나항공/이스타항공 인수 포기 기정사실화
- SK이노베이션, 중국 베이징자동차그룹 전기차 배터리 중국 정부 보조금 지급 확정. 사드 사태 이후 첫 한국 배터리 중국 완성차 탑재 및 보조금 지급 확정. 9월 첫 탑재. 중국 시장 점유율 확대 및 배터리 부문 경쟁력 본격 강화
- 케이뱅크, 29일 인터넷은행법 개정안 국회 통과에 증자 가능. 영업 정상화 전망
- 삼성전자, 코로나19 여파 2분기 전분기 대비 실적 하락 예상. 29일 1분기 임원 실적발표 자리서 불확실성 단어 18회 언급. 스마트폰/TV 판매량 감소 및 D램 수요 감소 전망
- 삼성전자, 반도체 분야 협력사 805억원 인센티브 지급. 지난해 대비 8.6% 증가 역대 최대 규모
- LG전자, 1분기 매출/영업이익 각각 1.3% 감소 21.1% 증가 14조7278억원 1조904억원 기록. 분기영업이익 2년만에 1조원 돌파. 영업이익률 역대 1분기 최고치 7.4% 기록. 가전 및 프리미엄급 제품 비중 확대에 수익성 개선. 스마트폰/전장사업 부진 지속
- 카카오, 2021년 10월 준공 예정 판교 알파돔시티 임대차 계약 완료. 2022년5월부터 계열사 순차적 입주 계획. 계열사 집결에 시너지 효과 기대
- LIG넥스원, 드론산업 확대. 성우엔지니어링과 드론/무인기 산업 기반 확대 포괄적 업무협약 체결
- SK텔레콤, MS와 협력 혼합현실 시장 확대. MR콘텐츠 제작소 점프 스튜디오 운영 돌입. MR콘텐츠 B2B 사업 확대 계획


부동산·건설(출처: 카톡채널 네이버카페 오소)
- 경매시장, 4월 서울아파트 경매 평균 응찰자수 전년 동기 대비 1.4명 감소 5.4명. 지난해 평균 대비 2명 감소 기록. 정부 규제 및 코로나19 여파 서울 아파트값 약세 전환 영향 분석
- 대전유성구, 도안 아이파크시티 분양권 거래 조사 결과 불법 거래 28건 적발. 불법전매/편법증여 등 의심사례 세무조사 및 형사고발 예정
- 미분양관리지역, 4월 울산 남구 1곳 제외 총 34곳 선정. 3월말 기준 미분양관리지역 미분양 주택 전국 66% 2만5220채 집계
- 미분양아파트, 전국 9개월 연속 감소. 3월 기준 4년 5개월만에 최저수준 3.8만 가구 집계. 전월/전년동기 대비 각각 2.9% 38.4% 감소 기록. 새아파트 선호도 증가 영향 분석
- 종부세 대상지역 비율, 강남구(53%) 서초구(51%) 용산구(30%) 송파구(28%) 성동구(13.5%) 등 순 집계. 올해 공동주택 전체 11% 28만여 가구 종부세 대상 추정



<명·언>
덜 약속하고
더 해주어라

_톰 피터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