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ed by 오소(오늘소식) 2020. 3. 23. 07:30

3월23일(월) 정부 다중이용시설 중단 권고
No.742
#오늘소식 #오소 #뉴스요약 #뉴스정리 #경제시사소식 #기업증권소식 #부동산소식 #진짜뉴스
#오늘소식카페 http://cafe.naver.com/englishmaster
#오늘소식카스 https://story.kakao.com/ch/newstoday
#오늘소식채널 http://pf.kakao.com/_axjAxmxl
오소VIP자료 무단 공유 금지(출처: 카톡채널 오늘소식)

시사·경제(출처: 카톡채널 네이버카페 오소)
- 정부, 4월5일까지 교회/헬스장/클럽 등에 운영중단 권고 대책 추진. 방역 지침 위반 시 300만원 벌금 부과. 확진자 발생시 치료비/방역비 청구 방침
- 국내 코로나19 확진자, 22일0시 기준 확진자 8897명 사망자 110명 완치판정 2909명 집계. 요양병원 등 집단감염 및 해외 유입 사례 급증. 유럽(74명) 중국/동남아(16명) 미주(12명) 등 순 기록. 입국금지 대상 지역 미지정에 해외 유입 사례 지속 증가 전망
- 정부,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프로젝트당 1억원 연구비 지원. 질병관리본부 국책과제 지원금 부족 지적
- 비우량 채권, 3월 7.4조원 등 상반기 총 28조4595원 만기 도래. 상환 실패 시 기업 연쇄 디폴트/부도 우려. 정부, 한국은행/산업은행에 단기 회사채 직접 매입 요구 계획
- 정부, 코로나19 위기 대응책에 재난기본소득 대신 소득하위 50% 건강보험료 납부 일시 유예/감면 방안 검토. 3개월 감면 시 1인당 평균 33만원 개인/기업 동시 혜택 전망
- 금융권, 시중은행 5곳 달러예금 잔액 4일새 30억달러 증가 431억달러 기록. 원화가치 하락에 달러 사재기 열풍 달러예금 급증
- 정부, 당정 중심 2차 추경 필요성 공감대 형성. 기재부, 4월 총선 이후 소상공인/중소기업 등 피해계층 2차 추경 편성 가능성 시사
- 정부, 금주 제2차 비상경제회의서 코로나발 경제충격에 27조원 규모 금융시장 안정 대책 발표 계획. 채권/증권시장 안정펀드 조성 계획
- 정부, 장·차관급 공무원 4개월간 급여 30% 반납 이어 1급이하 급여 일부 자진 반납 방안 검토
- 정부, 공무원 복무관리 특별지침 시행. 국가·지방공무원/공공기관 교대 재택근무/원격근무 의무화



기업·증권·투자(출처: 카톡채널 네이버카페 오소)
- 국내기업, 코로나 여파 LG이노텍/호텔신라 등 25곳 설비투자 지난해 대비 55.6% 감소 2조1851억원 기록
- 유가증권시장,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감소폭 확대. 46개 주요 상장사 1분기 컨센서스 2개월새 16.8% 감소 11조3159억원. 주가 평균 26.7% 급락
- 삼성생명 시가총액, 글로벌 저금리 기조 여파 연초 대비 절반 고점 대비 25% 수준 6.8조원 기록. 삼성전자 등 보유주식 24조원 및 부동산 포함 총 31조원 불구 과도한 저평가 판단
- 미국국제무역위원회, 21일 SK이노베이션 증거인멸 재판방해 판결문 공개. 980개 삭제파일 증거자료 첫 공개. ITC, SK이노베이션 배터리소재 10월5일까지 미국 수입 금지 여부 결정 예정
- 현대기아차, 코로나발 재택근무 대처 한계에 23일부터 자율 재택근무제 중단. 출퇴근 시간 분산 및 직원 접촉 최소화 방침
- 현대모비스, 레이더 활용 뒷자석 탑승객 감지 시스템 개발. 뒷자석 탑승객 방치 사고 예방 효과 기대
- 현대자동차, 미국 앨라배마공장 확진자 발생에 3월말까지 셧다운 기간 연장. 4월1일 생산 재개 방침
- LG전자, 스마트폰 ODM 조직 강화. 올해 스마트폰 절반 ODM 생산 계획. 국내 생산공장 베트남 이전에 인건비 등 비용절감 흑자전환 주목
- 국민카드, 팽수 카드. 출시 26일만에 20만장 발급. 10명중 7명 20대30대 차지. 89% 모바일 비대면 발급 기록
- 생명보험사, 변액보험 순자산. 코로나발 증시 폭락에 21일기준 10일만에 11조원 급감 89.6조원. 고객 포트폴리오 변경 문의 급증



부동산·건설(출처: 카톡채널 네이버카페 오소)
- 부부공동명의 아파트, 종부세 부담에 급증. 2월 집합건물 소유권이전 공동명의 전국(33.5%) 서울(44.2%) 비율/건수 역대 최대 수준 기록. 강남3구 공동명의 78% 차지
- 부동산시장, 대출규제·보유세·코로나 3대 악재에 매도 우위서 매수 우위 본격화. 매수우위지수, 지난 12월9일 128.6서 2개월만에 27.7 하락 100.9 기록
- 서울아파트, 금주 매매가격 악재/호재 혼재 속 지난주 상승폭 0.04% 유지. 강남3구 하락 노도강 상승세 견인. 도봉(0.23%) 강북(0.19%) 노원(0.16%) 마포(0.16%) 강동(0.15%) 관악(0.14%) 금천(0.13%) 순 상승. 송파(-0.08%) 서초(-0.03%) 강남(-0.01%) 등 순 하락
- 인천아파트, 3월16일 기준 매매가격 상승률 전주 0.38%서 0.53% 기록. 서울/경기 등 보합 및 상승폭 축소 불구 상승폭 확대.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및 신축, 7호선/GTX노선 등 영향 분석



<명·언>
죽음보다
무서워해야 하는 건
죽음에 대한
두려움이다

_퍼블릴리어스 사이러스